알바 주휴수당 계산법(주 40시간 미만 아르바이트)

주 40시간 미만 아르바이트,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실히 일주일 근무한 근로자들에게 주는 주휴수당은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아래에서 아르바이트 근로자의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근로자에게 있어 주휴수당은 단순히 추가적인 수입이 아닌, 근로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보상입니다.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에 앞서 주휴수당을 받기 위한 몇가지 조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바 주휴수당 수령 조건

  1. 주당 15시간 이상 근무
  2. 현재를 기준으로 다음 주에도 계속 근무 예정
  3.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사항 성실 이행

주휴수당 조건 확인하기

이러한 조건들은 정규직, 아르바이트, 일용직, 파트타임 등 모든 형태의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일주일 동안 정상적으로 일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쉬는 1일에 대해 임금 수령가능

근로 형태와 상관없이 성실히 근무한 모든 근로자들이 주휴수당을 받을 자격이 있는 것입니다.

알바 주휴수당 계산 방법

주휴수당 계산 방법은 근무 형태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주 40시간을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주 40시간 이상 근무주 40시간 미만 근무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일용직
하루 평균 근로시간 × 시급(1주 총 근로시간 ÷ 5일) × 시급계속 근로 시 실제 근로일수 기준으로 계산

보통 주 40시간 미만 근무를 파트타임, 아르바이트로 구분하는데 1주 총 근로시간에서 5일로 나눕니다.

그리고 시급을 곱하는데 2024 최저시급인 9,860원이 보통 적용됩니다.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예시)

계산이 헷갈릴수 있으니 예시를 들어 쉽게 알바 주휴수당을 계산해보겠습니다.

대학생 A는 매주 다른 시간 파트타임으로 일했지만 일주일에 20시간을 일했으면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요?

(20시간 ÷ 5일) × 시급(9,860원) = 49,300원
49,300원 X 4주(한달) = 197,200원

20시간을 5일로 나누고, 2024 최저시급인 9,860원을 곱해주면 1주일에 대한 주휴수당이 계산됩니다.

알바-주휴수당-계산기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2023년과 비교해보면 최저임금 인상으로 약 10,820원이 더 받을 수 있게 되었네요!

 

주휴수당 자주하는 질문

Q. 5인 미만 사업장은 주휴수당 지급 의무가 없나요?

A. 아닙니다. 많은 분들이 오해하고 계시는데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주휴수당은 사업장 규모와 무관하게 모든 근로자에게 지급되어야 하는 법적 의무사항입니다.

Q. 사장님이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A. 지급하지 않을 경우 고용주(사장)는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근로자들의 권리이자 당연히 받아야 할 보상입니다.

만약 주휴수당 수령 조건을 충족했음에도 고용주가 지급하지 않는다면, 고용노동청에 문의하여 정당한 대우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모든 근로자 여러분이 열심히 일한 만큼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기를 진심으로 희망합니다.